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DeFi 트렌드 분석: DEX 위에 세워지는 LSD(리퀴드 스테이킹)의 확장

by eatandworkout 2025. 4. 7.

2025년 DeFi 트렌드: DEX 위에 세워진 LSD(리퀴드 스테이킹 디리버티브)의 성장

2021~2022년 DeFi(탈중앙화 금융)의 대세가 DEX와 유동성 공급이었다면,
2023년 이후로는 점점 **LSD(리퀴드 스테이킹 디리버티브)**가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죠.
그리고 이제 2025년, LSD는 단순한 ‘이자 수익’ 상품을 넘어서
DEX 생태계 위에 얹힌 핵심 파생 구조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DEX 기반 LSD 프로토콜이 왜 뜨고 있는지,
어떤 식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트렌드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정리해볼게요.

2025 DeFi 트렌드 분석: DEX 위에 세워지는 LSD(리퀴드 스테이킹)의 확장
2025 DeFi 트렌드 분석: DEX 위에 세워지는 LSD(리퀴드 스테이킹)의 확장


1. 먼저, LSD란 무엇일까?

LSD는 Liquid Staking Derivatives의 줄임말이에요.
쉽게 말하면, 스테이킹한 자산을 유동화시킨 토큰이에요.

예를 들어, 우리가 ETH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스테이킹하면
원래는 락업(잠금)이 걸려서 사용할 수 없지만,
LSD를 사용하면 해당 ETH를 스테이킹하면서도 stETH, rETH 같은 유동화된 토큰을 받을 수 있죠.

그리고 이 토큰은 다시 DEX에서 거래하거나 담보로 활용할 수 있어요.

 

🔹 대표적 LSD 프로토콜

  • Lido Finance (stETH)
  • Rocket Pool (rETH)
  • Frax ETH (frxETH/sfrxETH)
  • Ether.fi, Renzo, EigenLayer 리스테이킹 기반 LSD들

 


2. 왜 DEX 위에서 LSD가 더 중요해졌을까?

LSD가 처음에는 단순히 “이자 주는 스테이킹 대체재”로만 인식됐어요.
하지만 지금은 DEX와 연결되면서, 그 활용도가 급격히 확장되고 있어요.

2025 DeFi 트렌드 분석: DEX 위에 세워지는 LSD(리퀴드 스테이킹)의 확장
2025 DeFi 트렌드 분석: DEX 위에 세워지는 LSD(리퀴드 스테이킹)의 확장

 

 

🔍 이유 1. DEX 유동성 공급 시장의 새로운 기축자산

  • 예전에는 ETH, USDC, DAI가 주요 유동성 자산이었다면
  • 이제는 stETH/ETH, rETH/ETH 같은 LSD 페어가 LP(유동성 공급)의 표준이 됐어요.

→ 단순한 스테이킹 + 이자 수익을 넘어서, DEX 상에서 거래, 스왑, 파생상품 활용까지 가능


🔍 이유 2. LSD 기반 레버리지 전략의 활성화

  • LSD를 담보로 다시 대출 받고 → 재스테이킹 → 다시 유동화 → 루프 돌리기
  • 이런 전략이 EigenLayer 리스테이킹 구조나,
    Pendle, Gearbox, Morpho 등과 엮이면서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투자 방식이 가능해졌어요.

LSD + DEX + 머니마켓이 연결되는 구조 = 새로운 DeFi 수익 모델


🔍 이유 3. LSD 토큰을 활용한 DEX 거버넌스와 인센티브 시스템

  • LSD 토큰을 투표권으로 전환하거나
  • DEX 인센티브 배분 기준으로 활용하는 구조가 늘고 있어요.

예: Pendle에서는 sfrxETH와 같은 LSD 자산 기반으로
다양한 트레이딩 상품이 쏟아지고 있고,
Balancer, Curve, Maverick 등에서 LSD 기반 풀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어요.

 

 


3. 2025년 현재, 주목할 만한 DEX 기반 LSD 프로젝트들

Pendle Finance

  • LSD 자산의 이자 수익을 분리해서 거래하는 구조
  • ETH, stETH, sfrxETH 기반 상품 다수
  • 2025년 기준 LSD 활용률 가장 높은 플랫폼 중 하나

Curve + Lido / Rocket Pool 연계

  • Curve에서는 stETH/ETH, rETH/ETH 유동성 풀이
    안정적인 거래를 위한 기준으로 자리잡음

Uniswap V3 + LSD LP 전략

  • 고정범위 수수료 모델을 통해 LSD 쌍을 좀 더 정밀하게 활용 가능
  • 일부 프로토콜에서는 LSD 자동 리밸런싱 봇도 등장

EigenLayer & Restaking LSDs

  • LSD를 스테이킹한 다음 다시 "리스테이킹"해서
    보안이나 거버넌스에 참여 가능
  • LSD가 단순한 수익을 넘어 DeFi 인프라 기여 자산으로 발전 중

 


4. 앞으로의 방향: LSD는 어디까지 진화할까?

🔮 LSD + RWAs (실물 자산 연계)

  • 앞으로는 stETH나 rETH 같은 LSD뿐 아니라,
    실물 자산(부동산, 채권 등)을 담보로 유동화한 LSD 상품도 나올 수 있어요.

🔮 LSD 토큰을 기반으로 한 인프라 DAO 등장

  • 특정 LSD 홀더들이 거버넌스를 쥐는 형태의 DAO들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돼요.
  • 이 구조는 DEX + LSD +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어요.

🔮 LSD간 경쟁 심화

  • Lido의 독점 구도를 견제하기 위한 Frax ETH, Mantle LSD, EigenLayer 연계형 LSD 등의 등장
  • 사용자는 더 다양한 옵션에서 선택 가능, 시장 경쟁 심화

 


마무리하며 💡

DEX 기반 LSD는 이제 단순한 ‘스테이킹 대체재’가 아니에요.
DeFi 생태계의 핵심 유동성 자산이자, 새로운 수익 구조의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어요.

2025년 DeFi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DEX 위에 세워지는 LSD 프로토콜의 확장성”**이에요.
여기서 발생하는 레버리지, 파생상품, DAO 거버넌스 구조는
앞으로의 Web3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꿔갈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 참고자료

  • defillama.com
  • pendle.finance 공식 문서
  • EigenLayer Docs
  • Messari / The Block 리서치
  • Lido, RocketPool, Frax Finance 등 프로젝트 홈페이지